‘한국의 카타콤바’ 충남 당진 신리 성지
‘한국의 카타콤바’ 충남 당진 신리 성지
  • 강효금
  • 승인 2020.07.16 17: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너른 들판에 우뚝 서 있는 순교자 기념관.  사진 이성호 작가
너른 들판에 우뚝 서 있는 순교자 기념관. 이성호 작가

 

충남 당진군 합덕읍에 위치한 신리 성지는 박해시대의 교우촌으로 성 손자선 토마스가 나고 자란 곳이다. 신리에 천주교가 처음 전파된 것은 내포의 사도라 불리는 이존창이 세례를 받은 이후다. 마을에는 밀양 손씨가 많이 살았는데 그들을 중심으로 천주교가 전파되었다. 1865년부터 조선 교구 제5대 교구장을 지낸 다블뤼 주교가 신리에 둥지를 틀었고, 그 즈음에는 마을 주민 전체가 신자였다. 신리는 조선에서 가장 큰 규모의 교우촌이자, 내포 천주교의 거점이었다.

 

성당 외벽에는 예수와 성인들의 모습이 새겨져 있다.  사진 이성호 작가
성당 외벽에는 예수와 성인들의 모습이 새겨져 있다. 이성호 작가

 

1972년 합덕의 한 마을에서 과수원을 만들기 위해 무덤 40여 기를 파묘했다. 그곳에서 묵주가 쏟아져 나왔다. 그 묵주를 모으니 한 됫박이 넘었다. 시신 중 32구는 목이 없었다. 그 작은 마을이 지금의 신리 성지이다.

 

순교자 기념관 지하에 자리잡은 미술관. 마치 카타콤바에 온 것 같다. 오른편 기록화에 다블뤼 일행을 소개하는 김대건 신부의 모습이 담겨 있다. 사진 이성호 작가
순교자 기념관 지하에 자리잡은 미술관. 마치 카타콤바에 온 것 같다. 오른편 기록화에 다블뤼 일행을 소개하는 김대건 신부의 모습이 담겨 있다. 파란 눈의 신부는 사람들의 시선을 피하기 위해 상복을 입었다. 이성호 작가

 

처형장의 다블뤼 주교 일행. 다블뤼 주교는 위앵, 오메트르 신부 등과 함께 보령 갈매못에서 참수 당했다. 1866년 3월 30일, 그날은 성 금요일 예수님이 십자가에서 돌아가신 수난일이었다.  사진 이성호 작가
처형장의 다블뤼 주교 일행. 다블뤼 주교는 위앵, 오메트르 신부 등과 함께 보령 갈매못에서 참수 당했다. 1866년 3월 30일, 그날은 성 금요일 예수님이 십자가에서 돌아가신 수난일이었다.  이성호 작가

 

다블뤼(1818-1866) 주교는 파리외방전교회 소속으로, 마카오에서 사제품을 받은 김대건 신부와 함께 1845년 조선에 첫발을 내디뎠다. 1866년 순교하기까지 21년 동안 선교활동을 하며 조선의 언어와 풍습, 사람들을 누구보다 깊이 이해하였다. 그는 교우들이 쉽게 교리를 배우고 이해할 수 있도록 ‘성교요리문답’(聖敎要理問答), ‘천주성교예규’(天主聖敎禮規), ‘천당직로’(天堂直路) 등을 번역했다. ‘신명초행’(神命初行), ‘회죄직지’(悔罪直指), ‘영세대의’(領洗大義), ‘성찰기략’(省察記略) 등의 저서는 신자들이 신앙을 이해할 수 있게 노력한 결과물이다. 그가 남긴 ‘순교자들의 역사’는 전 세계 교회 많은 신자들에게 ‘조선’이라는 작은 교회와 순교자를 기억하게 하는 디딤돌이 되었다. 다블뤼 주교가 조선 교회사 편찬을 위해 프랑스 파리로 보낸 그의 비망기는 후에 달레 신부의 ‘한국 천주교회사’의 기초가 된다.

 

주교관이자 교구청으로 사용된 초가집. 다섯 칸 초가집의 마지막 한 칸에는 온돌이 없다. 그 대신 그 자리에 지하로 들어가는 공간이 있다. 다블뤼 주교는 낮이면 이곳에서 몸을 숨기고 글을 쓰고 출판하여 신자들에게 보급했다. 이 초가집이 주교관이자 집필 장소이고 비밀성당이었다. 주춧돌과 대들보 등은 당시에 쓰던 것을 그대로 사용해서 복원했다. 사진 이성호 작가
주교관이자 교구청으로 사용된 초가. 다섯 칸 초가의 마지막 칸에는 온돌이 없다. 그 대신 그 자리에 지하로 들어가는 공간이 있다. 다블뤼 주교는 낮이면 이곳에서 몸을 숨긴 채 글을 쓰고 출판하여 신자들에게 나누어 주었다. 이 초가가 주교관이자 집필 장소이고 비밀성당이었다. 주춧돌과 대들보 등은 당시에 쓰던 것을 그대로 사용해 복원했다.   이성호 작가

 

신리 성지는 ‘한국의 카타콤바’라 불린다. 로마시대 박해를 피해 지하 무덤으로 숨어들어 신앙 공동체를 이루며 살았던 기독교인과 신리의 신앙공동체는 닮아 있다. 그들의 죽음과 수난은 너른 들판의 십자가로 빛난다. 그렇게 그들은 오늘 우리에게 신앙을 증거한다.

 

순교자 기념탑 위의 십자가. 순교자들이 죽음과 고통으로 지켜낸 신앙을 기념하는 십자가는 사람의 형상을 한 철 구조물로 이루어졌다. 사진 이성호 작가
순교자 기념탑 위의 십자가. 순교자들이 죽음과 고통으로 지켜낸 신앙을 기념하는 십자가는 철 구조물로 이루어졌다.   이성호 작가

 

 

이 기사 안의 사진은 이성호 작가가 제공했습니다.

 

이성호 작가는

1962년 경북 고령 출생

개인전

2019 가톨릭 성지, 1898갤러리, 서울

2019 가톨릭 성지, CU갤러리, 대구

2017 정미소 프로젝트, 대심정미소복합문화공간, 예천

2016 空, 봉산문화회관, 대구

2015 空, 갤러리 나우, 서울

2012 청도 유등축제 초대전, 청도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