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로 잃어버린 정월 대보름, 내년에는 꼭 찾고 싶다(18)
'코로나19'로 잃어버린 정월 대보름, 내년에는 꼭 찾고 싶다(18)
  • 이원선 기자
  • 승인 2021.06.28 10: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대추 한 알, 밤 한 톨, 그도 아니면 깨알 한 알이라도 정성을 보여야 한다는 것이네
그렇게 복과 화는 늘 반복하는 거지
잉걸불이 이글거리는 듯 분명 원한에 사무친 눈이었다
2월 27일 보름을 만 하루 지난 달이, 범어동 아파트 위로 떠오르고 있다(2장 다중 촬영). 이원선 기자
2월 27일 보름을 만 하루 지난 달이, 범어동 아파트 위로 떠오르고 있다(2장 다중 촬영). 이원선 기자

“그래 끝순네! 오늘은 복채를 좀 두둑하게 가지고 온 겐가? 내 자네의 표정을 보건데 궁금한 것이 한참 많아 보이네! 그럴라치면 복채가 있어야 되는데! 어때 복채는?”하며 준비한 복채를 신전에 받치고 궁금한 것을 물어 보라 다그친다. 할머니는 지금껏 무당이 용하다는 것은 몸소 겪은 경험으로 익히 알고 있었지만 가슴속에 들어앉은 것처럼 속내를 족집게로 꼭꼭 집어내는 데는 기암을 할 지경이다. 꽁꽁 숨겨둔 비밀을 버선 목 뒤집듯 죄다 드러내 보인 것 같아 얼굴이 홍시처럼 붉어진 할머니가

“복채 그것이”하며 말끝을 흐린다. 그러자 무당이

“이녁이 보기에 내 말이 좀 과해 보이는가? 그리고 이래 뻗쳐 입으니 좀 색달라 보이는가? 하지만 걱정 말게! 자네 사정이야 내 손금 보듯 빤히 알고 있네만! 설령 그렇더라도 지금까지는 이런저런 핑계를 들어 구렁이 담을 넘듯 어물쩍 넘어갔지만, 오늘은 날이 날인만큼 공짜는 절대 안 되네! 내 오늘 이렇게 차려 입은 것도 다 그 때문이네! 한 푼이고 두 푼이고 성의껏 재단에 받쳐야 한다네! 그래야 점괘가 제대로 나오고 또 효험도 있다네! 크고, 작고, 많고, 적음이 문제가 아니네! 하다못해 대추 한 알, 밤 한 톨, 그도 아니면 깨알 한 알이라도 정성을 보여야 한다는 것이네”한다. 그제야 무당의 말 뜻을 알아들은 할머니가 치맛말기를 들치고 고쟁이에 달린 주머니를 뒤적거려 어렵게 꺼낸 엽전 두 닢을 양손으로 받쳐 정성스럽게 제단 위에 올려놓고는 손을 가지런하게 합장 후 자리에 앉아

“세상인심이란 것이 내 맘과는 달리 참으로 흉흉한 것 같아 가슴이 터질 듯 답답하네요! 그래서 신녀님께 천하에 못난 년이라고 욕이라도 오지게 들으면 좀 삭아질 런가 싶어 이렇게 발걸음을 했네요! 동네 사람들 말마따나 미친년이 아니라면 이럴 순 업겠지요!”하며 지은 죄도 없는데 회자수 앞의 사형수처럼 몸을 떨며 고개를 주억거리는데

“미친년! 미친년이라! 끝순네가 미쳤다.”하더니 “어디보자! 어디보자”하며 손가락을 헤아려 꼽고, 입으로 무언가 중얼중얼 일다경이나 주문을 외우는가 싶더니 차분하고 조용한 목소리로

“하긴 그렇기도 할 게야! 나는 먼 저간 자식들의 저승길을 위해 천도를 하고 죽은 서방님의 극락왕생을 위해 살을 풀었을 뿐인데 사람들은 낮도깨비를 보는 듯, 금강야차를 보는 듯, 못된 멧돼지를 보는 듯, 지옥나찰의 악귀를 본 듯하니 말이야! 나는 아무런 잘못도 없는데 동네 사람들로부터 손가락질도 모자라 따돌림 끝에 철저하게 소외당하고 있으니 말이야! 하지만 걱정 말게 조금만 인내하고 기다리게! 자네가 감당해야할 전생의 업화가 이제 다한 듯싶네! 그런 까닭에 서서히 복도 찾아 올 걸세! 비록 느끼지는 못하겠지만 이미 자네 몸과 마음 어딘가 천년 학이 둥지를 틀 듯, 가을철 새벽을 기해 영롱한 이슬이 내리듯, 메말라 갈라진 논밭으로 가랑비가 내리듯 아주 천천히 깃들고 있다네”하더니 타는 목을 대신해 입술에 침을 묻혀 빙그레 웃는다. 그런데 앞뒤가 꽉꽉 막힌 듯 막막하다보니 무당의 말은 뜬 구름을 잡는 것만 같아 당체 이해할 수가 없는 것이 할머니의 솔직한 심정이었다. 이를 미리 짐작이라도 한 듯

“복이란 재촉해서 되는 게 아니 네! 복이란 말이야 천천히 와야 한다네! 만약에 복이 벼락이 치듯 다가온다면 나를 태우고 주위를 태울 걸세! 그것은 파멸로 가는 지름 길이도 하지! 따라서 복은 천천히, 미풍이 일어 스쳐가듯 그렇게 와야 하네! 복이 그렇게 와야 하는 까닭은 복은 늘 화를 동무하고 오기 때문이지! 자네가 동네 사람들과 화해를 하고 복이 깃들 때쯤이면 또 다른 화가 자네를 기다릴 걸세! 그리고 그 화를 넘어가면 또 다른 복이 기다리고 있을 걸세! 그렇게 복과 화는 늘 반복하는 거지! 그렇기에 짧고도 긴 인생 길이지! 그래서 인생을 들어 새옹지마라 하질 않는가? 따라서 ‘1+1=2’라는 것을 뻔히 알면서도 확실한 답을 구하지 못하는 것도 다 그 때문이지! 사람들은 나를 보고 다들 용하다고 엄지를 치켜세우지! 하지만 난 지금 내 인생에 대해서는 한치 앞도 모른다네! 깜깜 절벽이네! 그러나 자네는 내가 아닌 남이기 때문에 과거를 들어 현재를 이야기하고 미래를 예견할 수 있는 것이네! 그래서 오늘은 자네가 답답한 가슴을 품고 올 줄 미리부터 알아 오는 손님을 물리치고 이렇게 자네를 기다리고 또 이야기를 나누는 거지! 이것이 내 인생이 아니기 때문에 가능한 것이야! 가령 오늘 내가 내 자신을 점치고 대문밖에 횡액이 있음을 알아 용케 피했다고 하자! 하지만 이는 몸에 작은 생체기만 나고 끝날 일을 미구에는 목숨을 잃을 수 있는 일로 발전할 수 있다는 거지! 따라서 앞날을 미리 안다는 것은 더 없는 불행이며 재앙이야! 그러므로 더 이상 알 필요 없이 현실의 자질구레한 삶을 즐겁게 받아들이다 보면 곧 좋은 날이 있을 걸세! 물론 힘든 날도 있겠지! 이제 내 할 말은 다했네! 오늘은 이제 예서 돌아가시게! 그리고 내일부터는 예전의 못된 나로 다시 돌아갈 걸세”하며 축객 령을 내리는 것이다. 할머니가 더 이상 물으려 해도 입을 다물고는 아예 돌아 앉아 버리자 할머니는 하는 수 없이 자리를 털어 일어서려는데

“아~ 그리고 자네는 자네 생에 아들딸이 누리는 복덕을 자네 눈으로는 볼 수 없을 거네! 그건 자네 천명이 거기까지라서 그러네! 하지만 걱정 말게! 그 이후의 얼마간의 삶은 내가 보고 듣고 겪어 고스란히 저승으로 가지고 가겠네! 그 때는 내 자네의 손아래 동생이 되어 눈으로 본 듯 세세하게 전해 줌~세”하더니 눈을 내리깔아 재차 돌아 앉는다. 야속하지만 어쩔 수 없이 할머니가 방문을 막 나서려는데

“자네는 디딤돌이야! 다리야! 강을 가로질러 놓인 섶다리나 징검다리인 셈이지! 자네 등 위로 무엇이 지나든 자네는 힘껏 받치기만 하면 되는 거야! 황소가 지나가면 황소를 받치고, 짐을 가득 실은 수레가 지나가면 수레를 받치고 말이야! 그러나 억울해 하지는 말게! 꼭 자네만 징검다리일 수는 없다는 거지! 따지고 보면 다들 마찬가지지 나도 마찬가지야! 문제는 아니라고 우기고 회피한다는 데서 문제가 생기는 게지”하고 들으라는 듯 등 뒤에서 조용히 읊조린다.

운문현답인지? 현문우답인지? 천지분간을 모르는 미물이라 그런지, 아니면 까막눈이라 이해를 못해선지 늘 알쏭달쏭한 답만 얻는다. 속이 시원하고자 찾았지만 늘 근두운을 탄 손오공이 구름 속을 거니는 기분으로 돌아가는 것이다. 오히려 안 들은 것만 못한 기분도 든다. 그나마 복이 스며든다니! 지금이야 이 모양 이 꼬락서니로 근근이 입에 풀칠이지만 후일에는 남부럽지 않게 잘 산다니...!, 그것도 아주 천천히 복이 스며들어서...! 무당이 그간의 전례를 깨고, 서슬 푸르던 기를 죽여 조곤조곤 말을 하는데서 확연히 느낄 수 있었다. 단지 아쉬운 점은 늘 그렇듯 똑 부러지는 답이 없다는 것이다. 그것도 이해는 할만 했다. 당장 내 앞길에 사나운 여우가 나타난다는 사실을 안다면 백이면 백 다 피해가려할 것이다. 횡액도 싫고, 죽음도 싫기 때문이다. 하지만 이는 천륜에 위배되는 행위다. 다쳐야 한다면 다치고, 죽어야 한다면 죽는 것이 천륜이자 도리다. 따라서 앞날은 모르는 것이 오히려 약일지도 모른다. 평소 같으면 돌아서기가 무섭게 무당나부랭이라 속으로 욕을 씹어 삼켰지만 이치적으로 따지자면 틀린 말은 아니라는 기분이 든 것이다. 그 와중에 막연하나마 복이 깃들고 덕이 찾아들고 있다니 그나마 다행으로 할머니는 입을 다물어 앞날을 조용히 기다리기로 한 것이다. 더군다나 아들 그리고 끝순이가 복덕을 누려 잘 산다질 않는가? 어미로써 그보다 무엇을 더 바라겠는가? 그건 욕심을 넘어 과욕에 탐욕이라 여긴 것이다. 분명 지옥으로 떨어질 화를 재촉한다고 여긴 것이다.

그로 인해 정월 대보름을 맞아 잔뜩 준비한 음식은 보름씩이나 끈덕지게 상에 오르고 있었다. 그해따라 늦겨울 추위가 맹위를 떨쳐서 가능한 일이기도 했다. 7일째로 접어들자 덥히고 찐 음식들이 서서히 입에 물리기 시작했다. 하지만 할머니는 끈덕지게 입으로 넣어 잘근잘근 씹어가고 있었다. 이글거리는 눈동자로 위에서부터 차례차례 훑어내려 젓가락으로 꼭꼭 집어서 입으로 가져가는 것이다. 잉걸불이 이글거리는 듯 분명 원한에 사무친 눈이었다. 괴괴한 할머니의 분위기에 휩쓸린 아버지조차 젓가락질을 멈출 수가 없었다.

“어머니 그렇게 드시다가 탈이라도 나면...!”하는 아버지의 걱정에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