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만 3천 3백 봉축 연등"으로 유명한 동대사 ‘백중 천도재’
"3만 3천 3백 봉축 연등"으로 유명한 동대사 ‘백중 천도재’
  • 정지순 기자
  • 승인 2021.08.23 17:00
  • 댓글 2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불교의 5대 명절이라는 우란분절(백중)
천태종 동대사 지관전에서 우란분절(백중)천도재를 봉행하고 있다. 정지순 기자
천태종 동대사 지관전에서 우란분절(백중)천도재를 봉행하고 있다. 정지순 기자
동대사 지관전에서 천도재를 봉행하는 전경. 정지순 기자
동대사 지관전에서 천도재를 봉행하는 전경. 정지순 기자
동대사 지관전에서 우란분절(백중) 천도재를 봉행. 정지순 기자
동대사 지관전에서 우란분절(백중) 천도재를 봉행. 정지순 기자

지난 22일 오후 2시 대구 수성구 도심 속 자연 사찰 고모령에 위치한 천태종 동대사 경내 지관전에서 주정산 종단 원로원장 큰스님과 김도산 주지 스님, 각 사찰 스님, 임응호 종의회의원 및 많은 불자와 함께 코로나19 방역 수칙을 준수하며, 재(齋)를 베풀어 온갖 영가(靈駕)들을 천도하는 천도재(薦度齋)를 올렸다.

이곳 동대사에서는 7월 31일(초재), 8월 12일(중재), 8월 22일(막재), 총 3번에 걸쳐서 백중 재를 봉행하며 회향식이 있었다.

우란분재(백중재)이라고도 한다.

우란분절은 대자대비의 효심을 밝히는 날이며, 작게는 부모님과 선망 조상님들의 극락왕생과 해탈을 기원하고, 크게는 일체중생을 구제하겠다는 대승 보살의 핵심인 자리이타(自利利他)의 대서원을 실천하는 날이다.

그래서 불교 5대 명절 중 하나로 이날을 꼽는 것이다. 오늘날 불교는 이러한 전통을 이어받아 우란분재를 초파일 다음의 큰 행사로 법회를 치르고 있다.

동대사 지관전에서 백중 천도재를 봉행하고 있는 전경. 정지순 기자
동대사 지관전에서 백중 천도재를 봉행하고 있는 전경. 정지순 기자
동대사 지관전에서 백중 천도재에서, 정지순 기자
동대사 지관전 백중 천도재에서, 정지순 기자
동대사 경내 별채인 이곳에서도 코로나19 방역준수로 거리두기에 일환으로 영상으로도 천도재를 볼 수 있도록 한 곳으로 불자들의 모습들을 볼수가 있었다. 정지순 기자
동대사 경내 별채인 이곳에서도 코로나19 방역준수로 거리두기에 일환으로 영상으로도 천도재를 볼 수 있도록 한 곳으로 불자들의 모습들을 볼수가 있었다. 정지순 기자

그래서 우란분절에는 온갖 영가들을 천도하는 천도재를 베풀게 되기에 우란분재(盂蘭盆齋)라고도 부른다.

그리고 우란분공(盂蘭盆供)이란 현재의 살아있는 부모와 7대의 선망 부모(과거 일곱 생의 부모 영가)를 위하여 음식, 의복, 등촉, 꽃, 평상 등을 갖추어서 시방의 대덕 고승들에게 공양을 올려 그 공덕으로 부모 및 조상 영가의 고통을 없애준다는 데서 붙여진 이름이다.

백중(우란분절)의 위미

우리 조상들의 소중한 민족 명절로 내려오고 있는 백중은, 불가(拂家)에서는 우란분절이라 하여, 석가모니 부처님의 석탄절, 출가절, 성도절, 열반절과 함께 불교의 5대 명절[석탄절 4/8, 출가절 2/8, 성도절 12/8, 열반절 2/15, 우란분절 7/15]로 꼽히고 있을 만큼 중요한 날이다.

이날이 불교의 큰 명절로 자리 잡은 것은 부처님 10대 제자 중 한 사람인 목련존자가 자신의 어머니를 아귀 지옥에서 구하기 위해 부처님의 가르침을 받아 스님들의 하안거가 끝나는 음력 7월 15일 자자일(自姿日)에 여러 스님들에게 공양했다는 불설우란분경(拂說盂蘭盆經)의 이야기에 기인한다.

우란분은 범어 ‘우람바나(Ulambama)의 음역으로 거꾸로 매달린 것을 풀어주고 바르게 세운다’는 뜻이다.

‘우란(盂蘭)’은 도현(到懸) 즉 거꾸로 매달려 있다는 뜻이며,

‘분(盆)’은 ‘구제한다’ 여의게 한다’는 뜻으로 재(齋)를 배풀어 지옥과 같은 악도에 떨어져 고통받는 선망 부모를 구제한다는 의미를 지니고 있다.

‘백중’이라는 명칭 자체가 음력 7월 15일 때쯤 온갖 과일과 채소가 많이 나오기 때문에 백 가지의 곡식 씨앗을 갖추어 놓은 데서 유래되었다고 한다.

이 백중날은 저승의 문이 열려 선망 조상이나 태어나지도 못하고 죽은 태아령들을 부처님의 가피력으로 천도하는 날, 이라고도 한다.

불교 이야기에서 가피(加被)라는 말이 있다. ‘가피’란 부처님의 자비를 중생에게 베풀어주는 것으로 보면 된다. 부처나 보살이 중생을 깊이 사랑하고 가엾이 여겨 이들을 지혜와 복덕으로 지켜준다는 뜻이다.

간절히 원하는 기도를 이룰 수 있게끔 해주는 ‘부처님의 위신력’이라고 풀이되며 가지(加持), 가비(加備), 가우(加祐), 가위(加威)라고도 한다.

‘가피’라는 말은 ‘은혜로움’등으로 주로 해석된다.

[ 東大法報 ] 인용

천태종 상월원각대조사법어등 동대사 경내에서 맨위 원형의 법어등은 회전을 하며 보여주고 있다. 정지순 기자
천태종 상월원각대조사법어등 동대사 경내에서 맨위 원형의 법어등은 회전을 하며 법어를 보여주고 있다. 정지순 기자

상월원각대조사법어(上月圓覺大祖師法語)

◆ 실상(實相)은 무상(無相)이고, 묘법(妙法)은 무생(無生)이며, 연화(蓮華)는 무염(無染)이다

◆ 무상(無相)으로 체(體)를 삼고, 무생(無生)에 안주(安住)하여, 무염(無染)으로 생활(生活)하면,

◆ 그것이 곧 무상보리(無上菩提)요, 무애해탈(無碍解脫)이며, 무한생명(無限生命)의 자체구현(自體具現)이다

◆ 일심(一心)이 상청정(常淸淨)하면, 처처(處處)에 연화개(蓮華開)니라

도심속 자연사찰 동대사 경내 잔디광장과 주변전경. 정지순 기자
도심속 자연사찰 동대사 경내 잔디광장과 주변전경. 정지순 기자
동대사 경내 지관전에서 봉행한 우란분재(백중재)에서. 정지순 기자
동대사 경내 지관전에서 봉행한 우란분재(백중재)에서. 정지순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