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석굴 중앙에서 남쪽으로 갈라졌고, 다시 그 중간에서 서쪽으로 갈라져 마치 바위굴이 ‘ 口’ 자 모양을 하고 있는데 이 굴을 세칭 ‘극락굴’ 이라 한다.

갈라진 바위틈으로 겨우 한사람이 게 걸음으로 다닐 수 있는데 안경도 벗고 자동차 열쇠도 내려놓고 세상의 욕심을 모두 내려 놓아야만 비로소 돌아 나올 수 있다고 전해지면서 사람들이 많이 찾는 곳이다.

김유신 장군이 수도했던 중악석굴은 남북에서 호석(虎石)과 용석(龍石)이 호위하고 있는 형국이다. 남쪽의 금당 터 뒤에 있는 큰 바위가 호석(虎石)이고, 석굴의 북쪽을 연하여 길게 이어진 사인암 바위가 용석(龍石)이다.

중악석굴에서 나와 상인암방향으로 가다가 300여m정도 내려가면 김유신 장군이 석굴에서 수도하면서 마셨다는 장군수(將軍水) 약수터가 있다. 10m가 넘는 바위절벽 아래에서 솟아나는 석간수(石間水)이다.

삼국사기(三國史記) 김유신전(金庾信傳)에는 ‘‘김유신은 나이 15세에 화랑이 되어 그를 따르는 용화향도(龍華香徒)를 이끌었다.

진평왕 28년(611년) 나이 17세에 고구려, 백제, 말갈이 국경을 침범하는 것을 보고 비분강개하여 외적을 평정할 뜻을 품고, 혼자 중악석굴에 들어가 재계(齋戒)하고 하늘에 고하여 삼국을 평정할 것을 맹서(盟誓)했다.’ 는 기록이 있다.

장군수 약수터에서 되돌아 올라와서 우측 산길을 100m정도 걸어가면 좁은 바위틈을 지나 건들바위와 만년송(萬年松)을 만날 수 있다. 널찍한 너럭바위 위에는 두 토막 난 큰 바위가 아무 말 없이 자리를 지키고 있다.

크기는 길이가 7m, 긴 폭은 2m, 짧은 폭은 1m 정도로 건들 바위, 일명 동석(動石)이라고 한다. 혼자 흔들자 꿈쩍도 않더니 서너 명이 달라붙자 흔들거린다.

열암(悅菴) 하시찬(夏時贊ㆍ1750-1828)은 인종대왕태실(仁宗大王胎室)을 살펴본 뒤에 이곳에 와서 ‘건들바위(動石)’ 시를 지었다.
石性元來靜是常 / 돌의 성질은 원래 고요한 것이 정상이나,
胡然能動在山崗 / 갑작스럽게 산등성에서 움직이네.
似知體用相須妙 / 흡사 체용을 알아 서로 오묘함을 필요로 하니,
百劫藍風不敢傷 / 백겁(百劫)토록 남풍(藍風)이 상하게 하지 못하였네.

우담(愚潭) 정시한(丁時翰ㆍ1625∼1707)은 산중일기에서 ‘ 건들 바위는 기우제(祈雨祭)를 지내는 석대(石臺)’ 라고 하였다. 건들 바위에 올라서면 북쪽으로 천왕봉을 비롯한 팔공산 정상부가 한눈에 들어오고 멀리 산 아래로 운부암이 지척인 듯 바라보인다.

건들바위 옆에는 아름답다라고 밖에 표현할 수 없는 그런 바위들. 잘록한 몸매에 풍만한 몸매를 가진 여인네 몸처럼 둥글둥글하고 완만한 곡선을 가지고 있는 바위틈을 비집고 뿌리를 뻗으며 자란 소나무가 있으니 이 소나무가 만년송이다.

건들 바위 옆에는 만년송이 두개의 바위 틈에 뿌리를 깊이 내리고 하늘을 향해 우뚝하게 서있다. 만년송은 바위 위에서 세 줄기로 갈라져 있다.

만년송 높이는7-8m 남짓하고, 가지 둘레는 80㎝에서 140㎝ 정도이나 수령이 얼마인지는 알지 못한다. 사방이 바위로 뒤덮인 이곳에 뿌리를 내리고 온갖 시련을 이겨낸 소나무의 놀라운 생명력은 만년송이란 이름과 잘 어울린다.

흙한줌 없는 바위틈에서 혹독한 주변 환경속에서도 인고의 세월을 버텨온 나무를 보고 있노라면 모진 생명력이 보이는 듯하다. 그런 혹독하고 모진 자연환경을 헤치며 지금까지 견뎌왔기 더없이 놀랍고 숭고해 보이기까지 한다.

만년송이 있는 곳에서 몇 발자국만 옮기면 산하가 한눈에 내려다보이는 전망대가 된다. 사방으로 확 틔여 있고 눈앞에 펼쳐진 자연경관이 빼어나서 호연지기가 저절로 키워진다.

삼인암 북쪽 바위벽에는 제명(題名)을 남긴 영천군수(永川郡守) 조재득(趙載得), 원주판관(原州判官) 재한(載翰), 고산현감(高山縣監) 재리(載履)는 영조 때 영의정을 지낸 조현명(趙顯命)의 세 아들이다.

훗날 조재득(趙載得)의 아들 노진(潞鎭)과 수진(修鎭)이 찾아와서 아버지와 숙부 제명(題名) 옆에 자신들의 이름을 새겼다. 조재득(趙載得)이 제명을 새긴 바위 동쪽에는 널찍한 공터가 있다.

정시한(丁時翰)은 산중일기에 ‘이 자리를 고봉암(高峰菴) 터라 하고 전후좌우의 암석이 기괴하니 실로 도인(道人)의 수행처라 할 만하였다’ 고 했다. 전해오기로는 이곳을 화랑의 수련장이라고도 한다.

중악석굴과 연해 동쪽을 향해있는 용석(龍石)의 머리 부분에 ‘삼인암(三印岩)’ 3글자가 깊이 새겨져 있다. 삼인암은 큰 바위가 세 토막으로 잘려있는데 간격은1-2m 정도로 뛰어 넘어갈 수 있다.

삼인암에는 ‘‘자식이 없던 부인이 여기에서 정성을 들여 아들 삼형제를 낳았다’ 는 기자석(祈子石)의 전설이 있다. 또 어느 집안 아들 삼형제 혹은 친구 세 사람이 뜻하는 바가 있어서 이곳에 와서 정성을 들이고 힘써 정진하여 모두 뜻하는 바를 이루었다’ 는 전설도 전한다.

삼인암(三印岩)은 불교의 삼법인(三法印)을 상징한다고 불가에서 말한다. 삼법인(三法印)은 불교의 3가지 진리라는 뜻으로 제행무상(諸行無常), 제법무아(諸法無我), 열반적정(涅槃寂靜)을 말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