살아 있는 민속마을 순천 낙안읍성

조선시대 600여년의 역사를 오롯이 간직한 대표적인 계획 도시, 1983년 6월 14일 사적 제302호 지정, 총 13점의 문화재(국가지정 10, 도지정 3 )보유 2011년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 잠정목록 등재

2019-09-25     장희자 기자

조선시대 전기부터 600여 년의 역사를 오롯이 간직하고 있는 조선시대 대표적인 계획도시로, 성곽, 중요민속자료가 있다

소리의 고장으로서 가야금병창, 판소리 등 유무형의 자원이 잘 보존되어 있으며 성내에 주민이 거주한다

삼한시대 마한땅, 백제때 파지성, 고려때 낙안군 고을터 이며, 조선시대 성과 동헌(東軒), 객사(客舍), 임경업군수비, 장터, 초가가 원형대로 보존되어 성과 마을이 함께 국내 최초로 사적 제302호에 지정되었다.

조선 태조 6년(1397) 왜구가 침입하자 이 고장 출신 양혜공 김빈길 장군이 의병을 일으켜 토성을 쌓아 방어에 나섰고 300년 후 인조4년 (1626) 충민공 임경업 장군이 33세때 낙안군수로 부임하여 현재의 석성으로 중수했다.

다른 지역 성(城) 과는 달리 넓은 평야지대에 1∼2m 크기의 정방형의 자연석을 이용하여 높이 4m, 너비 3∼4m, 성곽 총 길이가 1천4백십m로 동내, 남내, 서내 등 4만 1천 평에 달하는 3개 마을 생활 근거지를 감싸안은 듯 네모형으로 견고하게 축조되어 400년이 가까운 지금도 끊긴 데가 없고 웅장하기 이를 데 없다.

지금도 성 안에는 98세대가 실제 생활하고 있는 살아 숨쉬는 민속고유의 전통마을로서 민속 학술자료는 물론 역사의 산교육장으로 가치를 인정받고 있다.

동문을 비롯 서, 남문을 통해 성안에 들어서면 사극 촬영장이 아닌가 하는 착각에 빠져들며 용인, 제주 민속마을 같이 전시용이나 안동 하회마을과 같이 양반마을도 아닌 그저 대다수의 우리 서민들이 살아왔던 옛  모습이기 때문이다.

순천 시가지에서 서쪽 22㎞ 거리의 읍성 민속마을은 6만8천여평으로 초가는 초라한 느낌마저 들지만 조상들의 체취가 물씬 풍겨 친근한 정감이 넘친다.

남부 지방 독특한 주거양식인 툇마루와 부엌, 토방, 지붕, 섬돌 위의 장독과 이웃과 이웃을 잇는 돌담이  있다

담장이와 호박넝쿨이 어우러져 술래잡기 하며 뛰놀던 어린 시절  고향을 연상케 하며 마당 한켠엔 절구통도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