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정 갈등이 빚어진지 반년이 넘었다. 전공의들의 이탈로 필수의료 시스템이 붕괴위기에 직면해 있다고 한다. 의대생들의 수업 포기와 미복귀로 의학 교육이 거의 마비된 상태에 와있다.
2천 명의 의대생 증원정책에 맞서 의료현장을 집단 이탈한 의사 선생님들의 심정과 상황을 이해하지 못하는 것도 아니다. 하지만 의사가 환자를 외면하고 의료현장을 박차고 나갈 수 밖에 없는 상황이었다 하더라도 정책을 집행하는 정부에 맞서는 방법이 그길 밖에 없었을까 하는 아쉬움이 크다.
의료현장의 혼란이 수습은 커녕 고착되어 가는 현실을 보면서 사람의 생명을 다루는 의사가 없는 병원이 무슨 존재 이유가 있을까싶기도 하다.
한편 의사들의 집단이탈을 나무라는 것과 같은 무게로 재해를 예방하고 그 위험으로부터 국민을 보호하기 위해 노력 해야
한다는 헌법정신을 무시한 대통령과 정부의 태도에도 많은 문제가 있다고 본다. 대통령은 단지 기득권 카르텔을 손본다는 명분 하에 무리하게 정책을 집행하도록 한 책임이 크다.
의료계에서도 증원 규모 2천 명에 대해 <의사의 숫자를 늘리는데 왜 반대를 할까>라는 주된 의문에 대해 일반 국민들이 “아! 그렇구나 그런게 있었구나” 하고 이해하고 공감 할 수 있도록 하는 조치들이 충분하였는지 피드백 해볼 필요가 있다.
몸이 아픈 환자는 마냥 의사만 원망하지 않겠는가!. 정부의 정책이 의사들의 의지와, 요구와 정당성에 부합하지 않는다 하더라도 의료현장을 집단으로 떠났다는 사실만으로 충분히 공감 받지 못하는것이 사실이 아닌가!
의료대란을 바라보는 대다수국민들의 시선은 어떤 휴유증이 생길것인지에 대한 충분한 검토없이 “기득권 카르텔”의 와해를 앞세워 국민의 건강과 의료의 질을 높일것을 내세운 감언이설적인 정책결정에 가장 큰 문제가 있었다고 보는 것이다.
정부는 의료재난이라고 해도 지나치지 않을 이번의 사태를 조속하게 수습 하지 않으면 큰 저항을 맞게될 것이다. 생명을 다룸에 있어서 의사본연의 책무를 내팽개친 의사들의 집단 이탈도 책임이 없지않지만 정부는 비난을 감수할 각오와 자세로 이 대란의 수습에 적극적으로 먼저 나서주기 바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