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촌진흥청, 꿀벌 보호 위해 관계부처 연구역량 총집결
농촌진흥청, 꿀벌 보호 위해 관계부처 연구역량 총집결
  • 여관구 기자
  • 승인 2022.06.21 10: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8년동안 예산 484억원 투입, 다부처공동연구 추진
농촌진흥청 전경.  사진 농진청 제공.
농촌진흥청 전경. 사진 농진청 제공.

꿀벌 집단폐사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농촌진흥청(청장 조재호)이 주관해 산림청, 농림축산검역본부, 환경부와 협업하고 기상청의 협조를 얻어 ‘꿀벌 보호를 위한 밀원수종 개발 및 생태계 보전’ 연구개발 사업을 추진한다. 농촌진흥청은 이를 위해 2023년부터 8년 동안 484억 원의 예산이 투입된다고 밝혔다.

‘꿀벌 보호를 위한 밀원수종 개발 및 생태계 보전’연구개발 사업은 올해 초 과기부 주관의 하향식 다부처공동기획연구 대상 과제로 선정돼 사회문제 해결형 부처협업 연구로 기획됐다. 이어 올해 6월 과기부 과학기술혁신본부 주관의 다부처공동기획사업으로 최종 선정됐다.

과기부 주관 하향식 다부처공동기획지원사업은 국가 정책에 부합하고 현장 수요를 해결하기 위해 부처 간 협업이 필요한 연구개발사업을 발굴·지원한다.

꿀벌 보호를 위한 핵심기술3, 중점기술 9, 연구분야 27.
꿀벌 보호를 위한 핵심기술3, 중점기술 9, 연구분야 27.

최근 전국적으로 발생하고 있는 월동 봉군 폐사의 주요 원인 중 하나는 이상기상이라는 분석이 나왔다. 이런 가운데 꿀벌의 주요 먹이원인 아까시나무의 분포면적이 최근 수십 년 동안 급감하면서 먹이원 공급에도 차질을 빚고 있다.

▶대표 밀원수인 아까시나무 분포면적 이 32만ha(1980년대) → 3.6만ha(2010년대)로 급감했다. 이러한 환경변화는 꿀벌의 활동을 어렵게 하고, 벌꿀 생산 감소 및 꿀벌의 면역력 약화를 유도한다. 전문가들은 꿀벌 생태계 파괴로 인한 피해와 경제적 손실이 점차 가중될 것이라고 예상한다.

▶벌꿀 생산량은 2020년 2,322톤(평년 29,163톤), 2021년 13,123톤으로 이는 평년 대비 각각 8%, 45% 줄어든 규모이다. 뿐만아니라 꿀벌 등 화분 매개 곤충이 기온상승에 적응하지 못하고 사라지게 돼면, 해마다 전 세계 인구의 0.05% 이상이 사망할 수 있다고 보고 이 사업은 이상기상 등 다양한 환경변화로 인한 꿀벌 생태계 파괴 문제를 해결할 목적으로 추진된다. 구체적으로 꿀벌의 강건성 증진과 밀원 단지 화 모델 개발, 생태계서비스 연구 등을 수행할 계획이다.

부처별 연구추진 계획

농촌진흥청은 꿀벌 사육과 병해충 관리 등 강건성 향상과 화분 매개 생태계서비스 강화기술 개발을 중점 추진한다.

산림청은 기후변화에 적합한 밀원 수 선발과 밀원 단지 조성 모델을 개발한다. 산불 발생 지역을 비롯한 현장에 개발된 밀원 모델을 보급함으로써 산림생태계 회복에 이바지한다.

농림축산검역본부는 꿀벌 질병 진단과 제어기술 개발을 담당하며, 기상청은 기상 상황에 따른 밀원수의 개화 예측 모델을 개발해 양봉 농업인에게 유용한 정보를 제공한다. 환경부는 등검은 말벌과 같은 외래해충 관리와 생태계서비스 평가 기술을 개발할 예정이다.

특히 연구개발을 1단계(기초 개발연구)와 2단계(현장 실증화)로 구분하여 추진함으로써 개발된 기술의 현장 보급까지 연계해 나갈 예정이다. 밀원 단지 기술개발 성과를 통해 안정적인 꿀벌 사육이 가능하면 꿀벌생태계의 지속가능성을 확보할 수 있고, 꿀벌의 공익적 가치가 높아질것으로 기대된다. 꿀벌의 공익가치는 5.9조(농업생산) → 10조(생태계)이다.

화화피해를 입은 아까시나무. 사진 산림청 제공.
황화피해를 입은 아까시나무. 사진 산림청 제공.

농촌진흥청 연구정책국 방혜선 과장은 “사회적 쟁점으로 떠오른 꿀벌 집단폐사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연구역량을 총집결하고 다부처 공동연구사 업을 성공적으로 추진하겠다.”라며 “아울러 생태계서비스의 취약성을 극복하고 양봉산업의 회복탄력성을 높일 수 있도록 유관 부처가 적극 협력해 나가겠다.”라고 밝혔다.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