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스타디움 칼라스퀘어 앞에서 대구풍물 큰잔치가 열여!
대구스타디움 칼라스퀘어 앞에서 대구풍물 큰잔치가 열여!
  • 이원선 기자
  • 승인 2022.06.13 17: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농촌에서 농부들이 나팔, 징, 꽹과리, 북 따위를 치거나 불며 하는 고유의 음악
‘날뫼’라 불렀으며 한자로 비산(飛山)이라 쓰게 되었다
자반뒤집기 묘기에 눈이 어지럽다
함께 어우러진 풍물패. 이원선 기자
함께 어우러진 풍물패. 이원선 기자

6월 11일 오전 11시부터 오후 2시까지 약 3시간 동안 대구스타디움 칼라스퀘어 앞 한국전통문화공연장을 중심으로 대구풍물협회가 주관하고 대구국악협회가 후원한 가운데 제1회 대구풍물 큰잔치가 열었다.

이날 대구풍물 큰잔치에 참가한 단체는 대구광역시 무형문화제 제1호 고산농악보존회, 제2호 날뫼북춤보존회, 제3호 욱수농악보존회, 제4호 천왕메기비산농악보존회, 사단법인 달성다사농악(12차진굿)보존회로 5개 단체다.

날날이(태평소)를 불어서 풍물패를 리드하고 있다. 이원선 기자
날날이(태평소)를 불어서 풍물패를 리드하고 있다. 이원선 기자

한편 대구풍물협회는 홍보 팸플릿 통해 “기운 생동하는 대구 향토 풍물의 신명으로, 코로나로 지친 시민들의 심신을 달래주고 활력을 나누기 위해 마음을 모아 제1회 대구풍물큰잔치 마당을 열게 되었습니다”라고 밝혔다.

농악의 사전적 용어는? : 농촌에서 농부들이 나팔, 징, 꽹과리, 북 따위를 치거나 불며 하는 고유의 음악, 또는 그 음악에 따른 민속놀이다.

날뫼 북춤을 추고 있는 모습. 이원선 기자
날뫼 북춤을 추고 있는 모습. 이원선 기자

고산농악

옛날 개울에 보를 막을 때나 논에 물을 잡고 농사일을 하면서 삶의 애환을 달래며 풍물을 쳤다고 하며, 또 정월 대보름에는 초이레, 여드레부터 상당, 중당, 하당 신내림 굿을 할 때 풍물을 쳤으며 풍농안택과 마을의 무사안녕을 기원하는 동제를 지내고 동제가 끝나면 가가호호 다니면서 지신밟기를 하였는데 이러한 문화가 발전하여 오늘날의 고산농악의 기원이 되었다.

날뫼북춤

아득한 옛날 달내(지금의 신천)에서 빨래를 하던 여인이 서쪽하늘에서 요란한 풍악소리를 듣고 바라보니 하늘에서 산모양의 구름이 날아오고 있어 여인이 놀라 “저기 동산이 떠 온다”라고 비명을 지르자 날아오던 산이 떨어져 동산이 되었고 이를“산이 날아 온다”하여 ‘날뫼’라 불렀으며 한자로 비산(飛山)이라 쓰게 되었다고 한다.

농악놀이의 신명나는 한판. 이원선 기자
농악놀이의 신명나는 한판. 이원선 기자

욱수농악

경상도 특유의 빠르고 힘찬 가락과 군사작전을 보는 듯 절도 있는 치배들의 움직임과 진풀이가 특징적인 농악이다. 더불어 경상도 살풀이의 투박한 춤사위와 외따기(참외 따기로, 여기서는 참외 서리를 말한다), 농사굿에 배어있는 농민들의 삶의 모습을 엿볼 수 있다.

천왕메기비산농악

천왕메기란 오랜 옛날부터 현재의 대구광역시 비산동 일대 주민들이 신앙해온 기천왕, 중천왕, 말천왕에 대한 정초의 지신풀이다. 대내림-제관선출(정초)-질굿-문굿-고사독축-천왕메기굿-마을굿(판굿)등의 절차로 이루어진다.

자반뒤집기의 묘기를 펼치고 있다. 이원선 기자
자반뒤집기의 묘기를 펼치고 있다. 이원선 기자

얼~쑤! 덩~더! 쿵, 풍물패가 화려한 복장으로 등장한 가운데 포수가 잡은 꿩을 허리춤에 차고는 흥을 돋는다. 사냥꾼인 장총을 손에 들고 무리에 합세, 정자관을 높이 쓴 선비가 아녀자를 희롱이다. 상모가 빙글뱅글 돌고 온갖 재주가 펼쳐지는 가운데 자반뒤집기 묘기에 눈이 어지럽다.

꽹과리를 치는 상쇠의 인도에 따라 한바탕 풍물이 어우러지자 지나는 사람들이 어깨춤을 들썩이며 함께했다. 농악은 ‘흥’이라는 말이 실감나는 때가 바로 이 시점이다. 하지만 장소는 비좁아 보였고 관객 수도 생각보다 많지 않아서 아쉬움이 없잖아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