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근대골목] 남산 100년 향수 길... 관덕정 순교기념관
[대구근대골목] 남산 100년 향수 길... 관덕정 순교기념관
  • 안영선 기자
  • 승인 2021.07.06 17: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남산 백년 향수길 셋째 구간은 '관덕정 순교기념관'이다. 관덕정 순교기념관은 대구의 대표적인 천주교 순교 사적지로 대구대교구가 1984년 한국천주교 200주년 기념사업으로 건립했다. 1985년 착공하여 1990년 지하 1층, 지상 3층 한옥 누각형식의 건물을 완공하여 1991년 5월에 개관식을 가졌다.

조선시대 이곳에는 군관을 선발하던 연병장이 있었고 한쪽에는 중죄인을 처형하던 곳이다. 영조 때 관찰사 민백상이 무과 시험장을 만들고 관덕당이라 이름지어 관덕정이라고도 불렀으며 중요 행사시 유흥접객장으로도 쓰고, 장수의 지휘본부가 되기도 했던 곳이다. 이후 천주교 박해가 시작 되고 연병장 한쪽에서 경상도 지역의 천주교인들이 처형되어 조선 후기 순교한 천주교인들의 눈물이 스며 있는 장소이기도 하다.

관덕정 순교기념관. 안영선 기자

웅장한 팔작지붕을 이고 있는 화강석 건물로 조선 후기 천주교 탄압에 희생된 분들을 추모하고 기억하는 공간으로, 화강석 벽은 순교자들이 지녔던 신앙의 굳은 정신을 나타내고 있으며 성채와 같은 건물의 형상은 근세 우리나라에서 외국의 침략을 물리치기 위해 축조한 보루 모양에서 따 왔다. 종탑같이 생긴 붉은 기둥은 물리적 기능은 없고 땅으로부터 하늘로 승화하는 이미지를 담기 위해서 만들었다고 한다.

성 이윤일 요한상. 안영선 기자

기념관 1층 로비에는 성 이윤일 요한상이 있으며 성당 제대 안에 유해를 모시고 있다. 성당 안 뒤쪽에는 103위 성인의 그림과 이윤일 요한이 참수당하는 그림이 걸려 있어 보는 이들의 가슴을 아프게 한다. 신자들은 이곳에서 기도하고 묵상하며 미사를 봉헌하기도 한다. 또 유해 전시실에는 바오로 성인, 소화 데레사, 요한 보스코 등 많은 유해들이 모셔져 있으며 순교 전시실에는 2009년 시복된 17명의 영정과 박해 시대의 형구들, 경북의 순례지 등이 소개 되어 있으며, 전시실의 제대는 1902년 대구본당(현계산주교좌성당)에서 사용하던 것이라 한다.

흥선대원군의 쇄국정치를 상징하는 척화비. 안영선 기자

요한상의 왼쪽에 흥선대원군의 척화비가 서 있다 이 척화비는 경북 영천 신녕성당의 건설 공사 중 두 동강난 채로 발견된 것이라고 한다.

관덕정 순교기념관 문을 열고 들어서면 약간의 어둠 속에서 둥근 스테인드글라스가 먼저 눈에 들어 오는데 미술학 박사 김은호의 1989년 작품으로 작품명은 '치명' 즉 순교를 뜻하며, 김은호 박사께서 작품을 만들 때 암 투병 중이었지만 혼신을 다해 완성했다고 하며 백정 휘광이가 성 이윤일의 목을 베는 바로 그 순간을 표현하여 순교자들의 신앙과 희생정신을 담으려고 했다고 전한다.

김은호의 스테인드글라스 그림. 안영선기자

 

누각에 오르면 북으로 동아쇼핑과 현대백화점이 자리를 잡고 있고, 앞으로는 달구벌대로에 자동차들이 빠르게 달리고 있다. 옛 관덕정이 도시청의 기능을 상실하자 1906년 대구의 유지들이 자금을 모아 관덕정을 수리해 사범학교를 개교했으나 일제 통감부의 방해로 곧 문을 닫고 이후 천도교에서 최제우의 처형장 임을 고증해 성지로 기념하기 위해 사들였고 동학의 한 분파인 '상제교' 간판을 달았다.

광복 후에도 이곳은 천도교 발전에 이바지 했으나 친일적 노선을 걷게 되면서 천도교로부터 출교당한 '시천교'가 대구지부 사무실로 잠시 사용하다가 1960년대 말 관덕정은 헐려 사라지고 관덕당 마당에는 1916년 당시 서문로에 있던 측후소가 세워졌다. 1917년 동문시장의 일부가 옮겨 왔고 1919년 동문시장 나머지가 옮겨와 새장(신시장), 즉 남문시장이 되었다. 남문시장이 1937년 현재의 위치로 옮겨 간 뒤 관덕당 마당은 지금의 모습이 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