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남알프스, 천황산을 거쳐 재약산 억새 보러 가는 길
영남알프스, 천황산을 거쳐 재약산 억새 보러 가는 길
  • 이철락 기자
  • 승인 2020.10.21 10: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영남알프스 9봉 중 두 번째로 높아도 산세가 부드러운 천황산
재약산 천황재와 사자평 억새의 은빛 물결

천황재(경남 밀양시)를 사이에 두고 오붓하게 서 있는 천황산(울산광역시 울주군)과 재약산은  억새 길과 가을 단풍을 즐길 수 있는 아름다운 곳으로 영남알프스 9봉에 속한다. 9봉의 높이는 가지산(1,241m), 천황산(1,189m), 운문산(1,188m), 신불산(1,159m), 재약산(1,108m), 영축산(1,081m), 간월산(1,069m), 고현산(1,034m), 문복산(1,015m)의 순으로 높으며, 천황산은 두 번째로 높다. 울산광역시 울주군은 영남알프스 1000고지 9봉을 완등하면 인증패를 수여 하기도 한다. 

울산광역시 울주군에 위치한 천황산(1,189m)은 갈대가 곳곳에 군락을 이루고 있으며 능선이 부드럽고 아름다운 산이다. 이철락 기자
울산광역시 울주군과 경남 밀양시의 경계에 위치한 천황산(1,189m)은 능선이 부드럽고 갈대가 곳곳에 군락을 이루고 있어서 아름다운 산이다. 이철락 기자

 

경남 밀양 얼음골에서 천황산을 거쳐 재약산까지 가는 간편한 산행길을 소개하자면, 먼저 50인승 ‘영남알프스 얼음골 케이블카’를 타고 초당 5m의 속도로 상부승강장(해발 1,020m)까지 올라간다. 케이블카는 선로 길이만 1,793m에 달하는 국내 최장거리의 왕복식 삭도로, 약 10여 분간 타고 가면서 맞은편 백운산(백호바위), 가지산, 호박소계곡 등에 관한 안내 방송을 듣고 주변 산세도 천천히 둘러볼 수 있다.

상부승강장에서 내려 약 280m에 걸친 하늘정원길을 걸으면 첫 전망대가 나타나는데, 이곳에서 밀양시 산내면 농원과 국도24호선을 먼발치에서 내려다볼 수 있고, 건너편 가까이 백운산(891m) 백호바위와 그 뒤로 운문산과 가지산을 멀리 바라볼 수 있다. 

지난 19일 오전 11시 30분 하늘정원 전망대에서 북쪽으로 백운산 백호바위(오른쪽)와 운문산(중앙)이 보인다. 이곳에서 천황봉까지 평탄한 능선을 따라 약 1시간 정도 소요된다. 이철락 기자
지난 19일 오전 11시 30분 하늘정원 전망대에서 북쪽으로 백운산 백호바위(오른쪽)와 운문산(중앙)이 보인다. 이곳에서 천황봉까지 평탄한 능선을 따라 약 1시간 정도 소요된다. 이철락 기자

 

하늘정원 전망대를 지나 천황재를 거쳐 재약산(수미봉)과 사자평 억새밭까지 가는 방법은 두 가지가 있다. 천황산(사자봉)으로 둘러 가는 길과 천황재로 곧바로 가는 길이다. 등산객들은 첫 갈림길에서 어느 길로 가야 할지 잠시 갈등을 겪기도 한다. 이곳에서 천황산까지 1.8km, 천황재까지는 2.8km이다. 전망대에서 첫 갈림길까지 가는 길은 억새가 많은 비교적 평탄한 길이다. 따스한 가을 햇살에 잘 닦아놓은 능선을 걷다 보면 마치 동네 뒷산을 걷는 듯한 다정다감한 자연의 느낌을 온몸으로 받는다.

첫 갈림길에서 1.8km 정도를 걸으면 하늘로 치솟은 천황산(1,189m) 표지석이 멀리 보인다. 이철락 기자
첫 갈림길에서 1.8km 정도를 걸으면 하늘로 치솟은 천황산(1,189m) 표지석이 멀리 보인다. 19일 낮 12시 30분 이철락 기자

 

첫 갈림길에서 잘 닦아놓은 능선 길을 따라 30분 정도 걸으면 짙푸른 하늘에 흩어놓은 흰구름 사이로 솟구친 천황산(1,189m) 표지석이 멀리서 반긴다. 천황산은 경남 밀양시와 울산광역시 울주군의 경계에 있는 영남알프스 산군에 속한 산으로 산세가 부드럽고 아름답다. 이 산의 이름은 일제강점기에 붙여진 것이라 하여 재약산(사자봉)으로 바꿔 부르기도 함으로써 다소 혼란스럽기도 하다. 

천황산(사자봉)에서 천황재로 가는 갈대 길을 걸으면 자연의 순수함과 아름다움에 도취한 채 한결 가벼워진 기분을 느낀다. 이철락 기자
오후 1시 천황재 입구. 천황산(사자봉)에서 천황재로 가는 갈대 길을 걸으면 자연의 순수함과 아름다움에 도취한 채 한결 가벼워진 기분을 느낀다. 이철락 기자

 

천황산(사자봉)을 지나서 약 1km 정도 걸으면 억새 군락지인 천황재에 도달한다. 하늘정원에서 곧바로 올 수도 있었던 천황재는 천황산에서 재약산(수미봉)으로 가는 길목에 자리 잡고 있다. 가을 등산객들은 이곳에 설치해놓은 목제 테이블에 앉아서 잠시 간식을 먹으며 가을 산행의 즐거움을 만끽한다. 산뜻한 바람이 눈으로 들어와 발끝으로 빠져나가는 천황재에서, 바람이 살랑살랑 쉬지 않고 갈대를 흔들면 관광객도 몸짓을 따라 하며 한바탕 웃음을 터트리는 곳이다.

등산객들은 천황산과 재약산(수미봉) 사이에 위치한 천황재에서 잠시 간식을 먹으며 쉬어 간다. 케이블카 상부승강장에서 이곳까지 약 2시간 정도 걸린다. 이철락 기자
등산객들은 천황산과 재약산(수미봉) 사이에 위치한 천황재에서 잠시 간식을 먹으며 쉬어 간다. 케이블카 상부승강장에서 이곳까지 약 2시간 정도 걸린다. 오후 1시 30분 이철락 기자

 

천황재 억새밭에서 기념촬영도 하고 테이블에 앉아 노닥거리다 보면 시간 가는 줄 모르기 십상이지만, 이내 재약산(수미봉)을 거쳐 사자평 억새밭으로 가는 길을 재촉한다. 재약산(1,108m)은 사자평 억새 평원과 습지를 한눈에 볼 수 있으며, 신라 천년고찰인 표충사의 뒷산이기도 한 아름다운 명산이다. 

재약산(수미봉)은 천황재에서 가까운 거리에 있으며 산세가 아름답고 부드럽다. 이철락 기자
해발고도 1,108m인 재약산(수미봉)은 천황재에서 가까운 거리에 있으며 영남알프스 9봉 중 중간 높이로 산세가 아름답고 부드럽다. 오후 2시 15분 이철락 기자

 

재약산의 이름은 신라의 어느 왕자가 이 산의 샘물을 마시고 고질병이 나았으므로 그 자리에 절을 세워 영정사(靈井寺)라 하였고, 약이 실린 산이라 하여 재약산으로 이름 지었다는 전설에서 유래된 지명이다(지식백과 한국지명유래집). 10월에 산뜻한 바람을 벗삼아 생수 한 병을 마시며 탁트인 재약산 억새밭을 천천히 걷다보면 웬만한 병은 말끔히 사라질 것 같은 느낌도 든다.

재약산 사자평 습지에는 억새가 사방으로 막힌 데가 없이 넓게 펼쳐져 있다. 크게 자란 억새 사이로 사람이 들어가면 눈에 잘 보이지 않는다. 이철락 기자
재약산 사자평 습지에는 억새가 사방으로 막힌 데가 없이 넓게 펼쳐져 있다. 크게 자란 억새 사이로 사람이 들어가면 어느새 함께 아름다운 자연이 된다. 오후 3시 이철락 기자

 

해발 1,020m의 상부승강장까지 케이블카를 타고 온 덕분인지, 건강한 사람이면 하늘정원 전망대에서 재약산(수미봉)을 거쳐 사자평 억새밭까지 약 3시간 반 동안 능선과 산길을 걸으면서 힘들다는 느낌을 크게 받지 않을 정도로 산세가 부드럽고 가벼운 산행이었다. 사자평 억새밭에서 흑룡폭포를 지나 표충사로 내려가는 등산로는 단풍으로 짙게 물들어있다.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