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에 인간 이세돌과 인공지능 ‘한돌’의 세기적 바둑대결로, 우리는 인간이 무엇인가에 다시금 관심을 갖게 되었다. ‘나는 누구인가?’라는 질문은 흔하지만, ‘나’란 무엇인가? 라는 질문은 생뚱맞게 들리기도 하고, 대답하기가 참 난감하다.
최근 2월말 조간신문에 대문짝만한 기사 하나가 실렸다. “내 일부가 죽었다”라는 신문 표제어다. 농구 황제 마이클 조던(57)이 LA에서 열린 코비 브라이언트(42)의 추모식에서 눈물 흘리면서 했던 바로 이 말이다. 눈물범벅이 된 조던의 사진이 함께 실렸다. 여기서 말하는 ‘내 일부’는 무슨 말일까?
‘나’라는 ‘개인’을 더 작은 단위로 나눌 수 없는 것일까. 우리말의 ‘개인’(個人)을 영어로는 ‘individual’이다. 이 낱말을 이루는 구성성분을 뜯어보면 「‘in’ + ‘dividual’」로 나눠진다. ‘divide’(나누다)라는 동사에, 부정접두사 ‘in’이 붙어 만들어졌다. 그래서 ‘individual’을 우리말로는 ‘더 이상 나눌 수 없는’ 이라는 의미로 사전에 실려 있다. 영어의 어원(語源)에서 보자면, ‘개인(나)’은 더 이상 나눌 수 없다는 뜻일 게다. 뭐 좀 복잡한 설명이 됐다. 정말 그럴까? 칸트의 말처럼 인간은 영(靈)과 육(肉)으로 만들어졌다고 본다면, 육(肉) 즉 육체의 측면에서는 이 말이 당연히 맞는 말이다. 인간을 죽여서, 토막을 내지 않은 한 나눌 수가 없기 때문이다.
그렇다면 인간의 영(靈)에 해당되는 ‘마음’, 즉 ‘인격’(人格)은 어떨까? 몸과 마찬가지로 더 이상 나눌 수 없는 것으로 여태껏 여겨져 왔고, ‘나는 나고, 너는 너다’라는 식의 명제(命題)가 사뭇 확고했다. 그래서 사람들은 자신의 인격(마음)은 유일무이한 ‘하나’라고 생각해 왔다. 겉과 속이 다른 ‘표리부동’(表裏不同)한 인간은 누구나 의식적으로 싫어해 왔기 때문에, 이 말에 누구나 쉽게 동의할 것이다.
그 이유는 핵심이 되는 ‘진정한 나’, 즉 ‘인격’은 하나며, 바로 여기에 한 인간의 본질이 있고 주체성과 가치관이 담겨있다고 확신해왔기 때문이다. 말하자면, 심청은 좋은 사람이고, 홍길동은 나쁜 사람이라는 낙인(烙印)처럼 말이다. 그런데, 과연 실제로 그러할까라는 반론에서 이 글을 시작해 본다.
작가인 「히라노 게이치로」는 자아(自我), 즉 인격은 ‘하나’라는 생각 때문에 타인과의 관계가 늘 힘들어지고, 문득문득 자신이 싫어지기도 한다는 것인데. 그가 쓴 ‘나란 무엇인가’라는 책에는 이런 문제들에 대해서 심도 있게 다루고 있어 무척 흥미롭다.
일상이나 직장생활에서 나를 한번 되돌아보자. 혼자 있는 시간을 제외하면 늘 누군가와 마주하게 된다. 만약에 그 숱한 사람들과 마주할 때 마다 똑 같은 얼굴과 표정으로 타인을 대한다면, 과연 원활한 커뮤니케이션이 가능할까? 내 인격은 이런 것이야 하면서, 언제 어디서나 ‘나는 나’라는 식으로 다른 사람을 대한다면, 공감과 유대는 사라지고 말 것이다.
그렇다면 ‘진정한 나’ 혹은 ‘본질적인 나’는 몇 개라도 되는 것일까? 아니면 하나일까, 아예 존재하지 않는 것일까? 히라노의 대답을 빌리면 명료하다. 변하지 않는 ‘진정한 나(자아)’가 하나만 있는 게 아니라, 대인 관계를 하는 사람들의 숫자만큼 ‘진정한 나’가 존재한다는 것이다. 이걸 설명하기 위해서 히라노는 ‘나’라는 ‘개인’과 더불어, ‘분인’(分人)이란 신조어(新造語)를 만들어 냈다. 그는 프로이트 같은 심리학자가 아니고, 소설가다.
이 발상의 근원은 더 이상 분할(分割)이 불가능하다고 여겨왔던 ‘나’라는 ‘개인’에 대해, 더 작은 단위로 나눌 수 있다는 데서 우선 출발한다. 이 작은 단위가 바로 ‘분인’(分人)이란 개념이다. ‘분인’을 그는 이렇게 설명하고 있다.
우리는 일상에서 여러 사람을 만난다. 그 때마다 내 마음 속에 여러 명의 ‘나(개인)’가 있다는 것을 감각적으로 혹은 본능적으로 익히 느끼며 알고 있다. 사장님과 만났을 때, 부모님과 같이 있을 때, 애인과 같이 있을 때의 내가 다르게 행동한다는 사실 말이다. 그런데도 ‘진정한 나는 하나뿐이다’라는 생각이 우리 상식 속에 이미 굳건히 자리 잡고 있다. 그래서 다른 사람들과 만났을 때의 ‘나’는 진정한 ‘나’가 아니라, 가면을 쓴 인격이란 뜻의 ‘페르소나’가 존재한다고 여태껏 믿어 왔다. 이것이 문제라는 것이다.
‘분인’의 개념은 ‘진짜 나’가 마음(인격)의 으뜸자리를 차지하고 있고 상황에 따라 다른 가면을 가져다 쓰는 게 아니라, ‘나’는 여러 개의 ‘나’로 따로 존재하며 그 ‘나’들이 모여 이루는 네트워크 전체가 바로 ‘나’라는 것이 핵심이다. 그런데 여태껏 우리는 내 인격 속에 여러 개의 ‘나’들로 따로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한 몸이라 생각해 왔다.
‘나’라는 한 ‘개인’ 안에는 여러 개의 분인(分人)들이 독립적으로 섞어있다는 말이다. 부모와의 관계를 유지하는 분인, 연인과의 관계를 유지하는 분인, 친구와의 관계를 유지하는 분인, 직장에서 동료들과 관계를 유지하는 분인 등과 같이, 나와 인맥을 맺고 있는 지인(知人)이 천 명이라면 ‘내’ 자아 속에는 천 개의 분인이 따로 존재한다는 것이다. 이 천 개의 분인의 집합체가 ‘나’ 하나의 ‘개인’이고, ‘나’ 하나의 ‘인격체’란 것이다. 그래서 한 ‘개인’은 이런 ‘분인들의 모둠(group)’이 된다. 한 ‘개인’을 정수(整數) ‘1’이라고 치면, ‘분인’은 분수(分數)로도 나타낼 수 있다. 사람마다 연결되는 대인 관계 숫자가 다르므로 분모(分母)의 수는 제각기이다. 1/n인 셈이다. 이 점이 중요한데, 상대와의 접촉 빈도수나 친화도에 따라 분자(分子)는 바뀐다. 상대와의 관계가 농익을수록 분자의 숫자는 커지고, 관계가 얕은 수록 분자의 숫자는 작아질 수밖에 없다. 일단 이 모든 분인들을 합하면 ‘1’이 되어야한다. ‘1’이라는 정수가 바로 ‘나’이고 한 사람의 ‘개인’이 된다.
길에서 우연히 친구를 만나 ‘야!’라고 소리 칠 때, 우리는 무의식적으로 그 사람 용(用)의 분인과 연결된다. ‘진정한 나’가 부랴부랴 의식적으로 가면을 쓰거나 캐릭터를 연기하는 게 아니다. 내 안에 똬리를 틀고 앉아있는 분인들 가운데 하나가 그저 순식간에 그와 연결될 뿐이다. 이 연결은 우리가 의식적으로 온전히 제어나 통제하는 것이 불가능하다. 무의식적으로 찰나의 순간에 연결되기 때문이다. 내가 알고 있는 지인(知人)이 1만 명이라면, 그 1만 명 각자는 크든 작든 나의 분인이란 뜻이다. 1만 명 각자는 어떤 순간에, 나를 직접 만나던 혹은 나를 그냥 생각만 해도 내 분인이 그들에게 나타나서, 연결된다는 것이다. 그래서 결론적으로 보자면, 인간관계란 개인과 개인과의 관계가 아니라, 분인과 분인과의 관계로 봐야한다는 것이다.
“내 일부가 죽었다”. 농구 황제 마이클 조던(Jordan)이 LA에서 열린 코비 브라이언트(Bryant)의 추모식에서 눈물을 흘리면서 했던 말이다. ‘내 일부’가 죽었단 말이 무슨 말이지 이제야 알 것만 같다.
<‘나란 무엇인가’의 제2부에서는 분인들이 ‘죽음과 슬픔’에 어떤 연결고리 역할을 하는지 알아보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