各自爲政(각자위정)
各自爲政(각자위정)
  • 신문수 기자
  • 승인 2019.12.20 14:17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 저마다 스스로 정치를 한다는 뜻으로 각자 사람들이 자기마음대로 한다면 전체와의 조화나 타인과의 협력을 생각하기 어렵게 된다는 뜻

ㆍ各(각) : 1.각각,다르다,제각기,따로따로 各各(각각) 各界(각계) 各種(각종) 各處(각처)

ㆍ自(자) : 1.스스로 2.자기 3.저절로 4.~부터 自家(자가) 自肅(자숙) 自然(자연) 自他(자타)

ㆍ爲(위) : 1.하다,행하다 2.행위 3.만들다 4.위하다 5.당하다 6.돕다 爲間(위간) 爲己(위기) 爲始(위시) 爲人(위인) 爲政(위정) 所爲(소위) 行爲(행위)

ㆍ政(정) : 1.정사 2. 법규,도덕 3.바로잡다 4.정치하다 政見(정견) 政黨(정당) 政府(정부) 政治(정치) 善政(선정) 虐政(학정)

 

춘추시대 때 宋(송)은 晉(진)과 관계를 맺었기 때문에 楚(초)와의 관계가 좋지 못했다. 그래서 초의 莊王(장왕)은 실력을 과시하기 위해 동맹국인 鄭(정)에게 명해서 송을 치게 했다. 정의 穆公(목공)은 송으로 출병했다. 결전 전날 밤 송의 대장인 華元(화원)은 장병의 사기를 고무시키기 위해 식사 때 특별히 양을 지급했다. 화원의 마부인 羊酙(양짐)만은 이 성찬을 대접받을 수 없었다. 어느 副將(부장)이 그 이유를 묻자 화원은 대답했다. 「마부 따위에게는 그럴 필요가 없다. 첫째 마부와 전쟁은 관계없다. 내가 한 말은 입 밖에 내지 마라」 다음날 양국의 싸움이 시작되었다. 화원은 양짐이 이끄는 마차 위에서 지휘하였다. 宋鄭(송정)의 양군은 자주 접전하였으나, 승패는 좀처럼 나지 않았다. 그래서 화원은 양짐에게 명령했다.「전차를 적의 병력이 적은 오른쪽으로 돌려라.」

그러나 양짐은 반대로 鄭軍(정군)의 병력이 밀집해 있는 왼쪽으로 전차를 몰았다. 당황한 화원은 소리쳤다. 「자네 어디로 가고 있는가」 양짐은 답했다. 「어제 羊(양)의 일은 당신의 의지이고 오늘 이 일은 내 생각입니다」 양짐은 그대로 정군의 집단 안으로 들어갔기 때문에 결국 체포되고 말았다. 대장이 포로가 된 것을 본 宋軍(송군)은 전쟁에서 의욕을 잃고 곧 도망치려 하였다. 그 결과 2백50여 명의 병사가 정군에게 체포되고 司空(사공)인 樂呂(낙려)까지 포로가 되었다. 싸움은 끝났다. 정군은 총계 460여 개의 전차를 포획 송군을 철저하게 쳐부수었다. 이것도 양짐이 화원의 지휘에 따르지 않고 “각자의 政事(정사)를 위함” 때문이었다.

 

요즘 국회의 모습을 보면 調和(조화)나 協力(협력)은 찾아보기 어렵다. 특히 선거법과 공수처법을 저렇게 死生決斷(사생결단)으로 집권당과 소수정당이 힘을 합해 통과시키려 하는 것과 제1야당이 極烈(극렬)하게 반대하는 이유를 국민들은 알 수 없다. 양 진영이 서로 협력의 대상이 아니라 전쟁터에서 적군을 대하는 것 같다. 21대 총선이 4개월도 채 남지 않았는데 의원정수 선거구 劃定(획정)도 도무지 알 수 없다. 국민들은 바란다. 내 소중한 한 표를 행사하면 어떤 인물이 뽑히고 또 어떤 정치집단을 선정하게 되는지를 알고 싶을 뿐이다. 선거가 민주주의 꽃이라 하는데 선정 과정이 너무 복잡하면 안 된다. 보통사람의 상식 수준이면 이해할 수 있는 간결한 선거제도가 국민들에게 가장 說得力(설득력)있는 제도라 생각한다. 21대 총선이 코앞인데 국회는 밤을 세워서 국민들이 이해하고 납득할 수 있는 선거제도를 반드시 제시해 주기 바란다.